자산관리 책 요약/살 때, 팔 때, 벌 때

살 때, 팔 때, 벌 때 - 2 - 3 - 대박의 핵심, 타임스팬과 디버전스

agrammer 2023. 5. 22. 21:32
반응형

매크로의 실전 응용편

 경제와 시장의 크고 작은 사건과 흐름을 나타내주는 지표를 공부해야 자산을 불릴 기회가 생긴다. 길게 보고 투자의 맥을 짚어 갈 논리와 데이터적 근거를 토대로 투자를 해야 한다.

 

리딩과 래깅

ISM 제조업 지수와 ISM 신규 주문

* 위 차트를 통해 ISM 신규주문은 ISM 제조업 지표의 방향성에 선행함을 알 수 있다.

* ISM 신규주문은 ISM에 리딩하고, ISM은 신규주문에 레깅한다.

* 2022년 중반 ISM 제조업 지표가 견고하지만, 3~4개월 후 50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큰 것을 유추할 수 있다.

세계 제조업 PMI와 완화적 중앙은행 통화정책 국가 수

* 완화적 통화정책을 하는 중앙은행의 수세계 제조업 PMI을 8개월 리딩한다.

* 2023년이 되면 글로벌 PMI가 하락하고 생산 위축을 겪게 될 것이라는 점을 미리 말해준다.

LEI(Leading Economic Index) YOY와 S&P500 YOY

* LEI는 10개의 구성 항목을 결합한 경기선행지표S&P 500의 증감을 리딩하는 것을 보여준다.

* 경제지표와 금융지표를 묶어서 그래프로 그려보면, 한쪽이 다른쪽의 예측지표로 활용이 된다.

디버전스

 디버전스란 어떤 구간에서 흐름이 맞지 않고 깨지는 경우를 말한다. 디버전스를 잘 잡으면 수익의 기회가 된다.

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와 Russell 1000 지수

* 지수는 상승하고 있는데, 소비자 심리는 바닥을 찍고 내려가고 있다.

* 향후 기업들의 마진이 줄어들고, 지수가 내려갈 확률이 큰 것을 예측해 볼 수 있다.

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와 AAII 보통주 투자비중

* 소비자심리지수는 안좋은데 보통주 투자 비중은 유지되고 있다.

* 4~6개월 후 주식 자금이 소비를 위해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.

결론

경제 지표나 자료 사이에서 디버전스는 투자의 기회이다. 거시경제에 대해 미리 공부하여 이런 기회를 놓치지 않아야 큰돈을 벌 수 있다. 특히 반도체나 원자재 관련 기업들에 투자하거나 ETF를 매수할 경우, 이런 자료들을 꾸준히 검토해야 한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