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투자의 푄 현상
투자를 할 때에는 버는것보다 원금을 잃지 않는것이 더 중요하다. S&P500의 과거 100년 차트를 보면 수익률은 218배이다. 10년마다 오는 최고의 10일을 다 놓쳤다면 수익률은 58%이고, 10년에 한번인 최악의 10일을 전부 피했다면 46700배에 달한다. 만약, 가장 좋은 10일과 가장 안좋은 10일 전부를 회피했다면 수익은 335배인데, 그래도 218배보다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잃지 않으려고 기를 쓰는 것이, 큰 수익을 내려는 것보다 더 산술적으로 유리하다. 즉, 최악의 경우에는 들어가지 않게 노력하는 것이 성공적 투자의 길이라는 것이다. 가늘고 길게 가는 것이 좋다.
푄 현상이란 바람이 산을 타고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가면서 고온 건조한 성질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. 계좌도 마찬가지로, 100% 수익을 올렸다고 해도, 50%가 빠지면 본전이다. 리스크 관리를 못한다고 하는 것은 훌륭한 투자자가 되는데 치명적 결격 사유가 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.
반응형
'자산관리 책 요약 > 살 때, 팔 때, 벌 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살 때, 팔 때, 벌 때 - 4 - 4 - 성공한 투자자가 찾는 보물: 성장과 그 증거 (0) | 2023.05.27 |
---|---|
살 때, 팔 때, 벌 때 - 4 - 3 - 지수가 올라도 돈을 못 버는 이유 (0) | 2023.05.26 |
살 때, 팔 때, 벌 때 - 4 - 1 - 손에 쥔 것을 놓기 전에는 다른 것을 잡을 수 없다 (0) | 2023.05.25 |
살 때, 팔 때, 벌 때 - 3 - 5 - 주가수익비율 밴드를 이용한 트레이딩 (0) | 2023.05.25 |
살 때, 팔 때, 벌 때 - 3 - 4 - MVP 투자 기법 (0) | 2023.05.24 |